본문 바로가기
여러가지/건강한삶

치매예방법을 알아보자

by 레코드에그 2024. 2. 1.

목차

    반응형

    똑같이 나이가 들어도 어떤 사람들은 치매가 오고 어떤 사람들은 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왜 그런 것일까?  치매에 잘 걸리는 유전자라도 따로 있는 것일까?
    며칠전 흥미로운 기사를 보았는데 거기서 나의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 
    신체는 80대에 접어들어서도 20~30년 젊은 뇌 기능을 유지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의 뇌는 보통 사람들의 뇌와 비교 하였을때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타우 단백질과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한다. 말그대로 뇌가 깨끗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치매 예방법을 간단히 소개해본다. 

    1.뇌를 자극하는 활동을 많이 할것
    뇌를 자극하는 활동이란 말 그대로 매일매일 해오던 똑같은 일들이 아닌 새로운 것들 이를테면 새로운 악기를 배운다거나 외국어를 공부한다거나,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등 뇌에 새로운 자극을 끊임없이 주는 것이다.  그리고 그날그날 있었던 일들을 정리해서 기록하는 일기를 쓰는 것또한 뇌를 활성화 시켜 뇌에 자극을 줄 수 있다고 한다. 새로운 것들을 배우는 것이 아주 거창할 필요는 없다.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좋으니 조금씩 꾸준히 행동해보는것은 어떨까?

    2.운동을 꾸준히 할것
    정확히는 몸을 활발히 움직이는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들어 조깅,수영,자전거타기 등이 이 있겠다.  유산소 운동을 할때 우리몸의  구석구석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심박수가 증가하며  이때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뇌로 가는 혈류량 또한 증가하여 뇌세포에 대한 영양분 공급이 늘어나고 , 뇌를 보호하는 물질인 BDNF(뇌 유래신경영양인자) 가 많이 생성되어 치매예방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3.충분한 숙면을 취할것

    충분한  숙면은 치매예방에 도움이된다.
    수면은 사람의 신체와 정신을 회복시켜주기 때문에
    건강한 삶을 위해서도 아주 중요하지만, 뇌 네트워크를 튼튼하게 해주고 치매의 흔한 원인인 아밀로이드 단백질 또한 수면중에 일부 씻겨나간다고 하니 양질의 수면은 정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